목록당뇨병 (13)
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최근 당뇨병 진단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젊은 당뇨병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대한당뇨병학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국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의 20%가량인 약 98만명이 40대 이하의 젊은 당뇨병 환자다. 젊은 당뇨병 증가의 주된 원인은 운동 부족과 비만이다. 체내 지방조직이 늘어나면 당뇨병의 원인이 되는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인슐린 호르몬은 췌장에서 만들어져 우리 몸의 혈당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면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혈당 조절에 문제가 생기고, 우리 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췌장에서 더 많은 인슐린을 만들어낸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췌장이 지치면서 인슐린 분비 기능이 현저히 낮아지고, 당뇨병으로 진행되기 ..

당뇨병을 10년 이상 오래 앓았거나 65세가 넘은 당뇨병 환자는 저혈당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고 쇼크(의식소실)까지 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를 '저혈당 무감지증(無感知症)'이라고 하는데, 당뇨병 환자의 40%가 가지고 있을 정도로 흔하다. 지난 1월 경남 창원에서는 버스 운전기사가 운전 중 갑자기 의식을 잃어 화물차를 들이받은 사고가 발생했는데, 저혈당 무감지증으로 인한 쇼크가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저혈당은 당뇨병 환자가 제때 식사를 하지 않거나 신체 활동이 갑자기 많아지면 닥칠 수 있다. 1단계에서는 심한 공복감, 식은땀, 가슴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럴 때 즉시 사탕 등 혈당을 빨리 높일 수 있는 식품을 먹어야 한다. 그래야 저혈당이 심해져 2단계 증상인 쇼크까지 ..

마주 보고 있는 사람과 얘기할 때 내 의지와 상관없이 눈 밑이 파르르 떨리면 민망하고 부끄럽다. 시도 때도 없이 떨리기 시작하면 몸에 문제가 생긴 건 아닌지 걱정스럽다. 눈 밑은 왜 떨리는 걸까. 흔히 알고 있는 것처럼 피곤하거나 스트레스가 쌓인 탓일 확률이 크다. 피곤하면 몸속 전해질 균형이 깨지기 쉽다. 근육이 정상 활동을 하려면 신경으로부터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화학물질이 제대로 분비되거나 이 물질이 잘 기능해야 하는데, 이때 관여하는 게 전해질이다.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 눈 밑 근육이 제멋대로 떨릴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몸속 전해질 균형을 맞추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전해질이 풍부한 이온음료를 마시는 게 첫 번째 방법이다. 당뇨병이 있어..

당뇨병을 치료하는 특별한 음식이나 식품은 없다. 알맞은 양으로, 규칙적으로, 천천히, 영양소를 골고루 균형 있게 식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식도 보통 식사와 마찬가지. 영양소를 고려하여 골고루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자신의 양에 알맞게 챙겨 먹는 연습을 한다면 외식도 즐겁게 할 수 있다. ① 매일의 식사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외식이라고 해서 거북할 정도로 많이 먹으면 안된다. 식사 전 한끼 식사량에 맞춰 미리 덜어놓고 먹는다. ② 외식 전 식사를 거르지 않는다. 배가 고프면 과식을 하기 쉽고, 당뇨병 치료약제 사용 중 식사를 거르면 저혈당에 빠질 위험이 높아진다. (외식 시 음식절제가 어려우면 가능한 한 외식의 횟수를 줄인다.) ③ 식사시간이 평소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