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다양한 의료정보/일상 속 약물 복용 및 사용법 (21)
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치주질환이란?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978&cid=51007&categoryId=51007 치주질환은 흔히 풍치라고도 하는데,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뉩니다.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으로 잇몸(연조직)에만 국한된 형태를 치은염이라고 하고, 이러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 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를 치주염이라고 합니다. 치주질환은 20세 이상의 성인의 경우 과반수에서, 35세 이후에는 4명당 3명꼴로, 그리고 40세 이상의 장년층 및 노년층의 경우 80~90%에서 잇몸질환이 발생합니다. 치주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은 치아에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플라크(pla..

'탈모'란?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06&cid=51007&categoryId=51007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두피의 성모(굵고 검은 머리털)가 빠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성모는 색깔이 없고 굵기가 가는 연모와는 달리 빠질 경우 미용 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서양인에 비해 모발 밀도가 낮은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약 10만개 정도의 머리카락이 있으며 하루에 약 50~100개까지의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입니다. 따라서 자고 나서나 머리를 감을 때 빠지는 머리카락의 수가 100개가 넘으면 병적인 원인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담해 보는 ..

각성제란? 각성제는 일반적으로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며 교감신경계를 활성화하는 약물로 정신흥분제, 정신부활약, 중추신경 자극제로도 불립니다.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을 증가시켜 기분과 정신기능을 상승시키고,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심박동과 혈압을 높이는 등의 각성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졸음 개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 기면증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성분으로는 카페인, 메틸페니데이트, 모다피닐이 있고, 자연물질로는 코카잎의 코카인, 담배의 니코틴, 커피의 카페인 등이 각성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합성된 각성제 중 일부인 암페타민 계열은 초기에는 천식 치료약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오남용 등의 문제로 의약품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각성제의 종류 의약품으로 사용..

피로 회복제란? 피로회복제는 인체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 자양강장제라고도 불립니다. 피로는 스트레스, 영양결핍, 수면장애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피로가 쌓이면 집중력 또는 기억력 장애, 감각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로의 원인 해결, 영양 보충, 생리기능 활성화 또는 원기 회복 등을 통해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비타민 복합제, 아미노산 제제, 간기능 개선제, 카페인, 자하거(인태반)제제, 한약제제 등 다양한 약물이나 영양소, 생약 원료가 단독 또는 서로 복합되어 피로 회복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피로 회복제의 종 약학용어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4577&cid=59913&categoryId=59913 피로회복제는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