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다양한 의료정보/질환백과 (159)
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대장염 Colitis 정의 약 1.5m 길이의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됩니다. 결장은 소장과 연결된 부위로부터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상결장으로 구분됩니다. 또한 맹장에서 나오는 가늘고 긴 튜브 모양의 충수 돌기가 있으며, 길이는 약 8~10cm입니다. 이 충수 돌기에 생기는 염증을 일반적으로 맹장염이라고 부릅니다. 상행결장은 복부 우측에서 간을 향해 올라가는 장으로, 길이는 약 15cm 정도입니다. 횡행결장은 간만곡부에서 비장만곡부까지의 결장을 말하며, 길이는 약 45cm입니다. 하행결장은 후복벽에 고정된 기관으로, 길이는 약 25cm입니다. 에스상결장은 하행결장에 이어져 있으며, 길이는 15~50cm입니다. 직장은 대변의 저장고 역할을 하는 기관입니다. 에스상결장에서 연결..

흡수장애 증후군 Malabsorption Syndrome 정의 흡수장애 증후군은 먹은 음식물을 소화하여 흡수하는 과정 중 어느 한 부분이라도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하는 질환입니다. 이는 소화 효소에 의해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흡수장애와 분해된 영양소를 장세포 내로 흡수하지 못하는 흡수장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 흡수장애 증후군은 장관 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담관이 막혀서 담즙이 나오지 못하거나 만성 췌장염으로 인하여 췌장 소화액 분비가 부족한 경우, 소장 내에 세균이 증식하여서 세균이 소화 효소를 분해하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됩니다. 흡수면 부족에 의한 흡수장애는 다른 질환으로 인하여 소장을 절제하여 소장이 100cm 이내만 남아있는 짧은 소장(단장)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소장의 ..

장염전 Volvulus 정의 장염전은 소화관의 일부가 장간막을 축으로 회전하거나 주변 섬유화에 의해 유착되어 꼬인 상태를 말합니다. 장염전은 장의 통과 장애와 순환 장애를 초래합니다. 이로 인해 처음 증상이 생긴 후 수 시간 안에 전체 장 괴사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에스상 결장(노인에게 잘 발생함), 소장, 맹장(선천성으로 장 회전에 이상이 있는 젊은 사람)에 잘 발생합니다. 극심한 통증과 복부 팽만이 나타납니다. 원인 장염전은 선천적으로 장간막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서 장관의 이동성이 큰 경우에 주로 발생합니다. 복막염이나 수술 후에 복강 장기에 유착이 생긴 경우, 변비, 연동 항진 등의 이유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외 선천성 횡격막 탈장, 위식도 역류, 소장 폐쇄, 거대 결장, 장중첩증, 게실..
치조골염 Alveolar ostitis 정의 발치한 후 치아가 사라져 마치 구멍이 난 것처럼 보이는데, 발치한 자리에 혈전이 발생하여 남아 있는 뼈와 신경을 보호합니다. 사람에 따라 이틀 정도가 지나 혈전이 제거되거나 용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혈전이 제거되면 남겨진 뼈와 신경이 공기, 음식물, 기타 입안에 있는 것들에 노출되면서 감염과 함께 심한 통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를 치조골염이라고 합니다. 이 질환은 발치한 환자의 2~5% 정도에서 발생합니다. 원인 치조골염의 가장 큰 요인은 흡연입니다. 특히 발치하기 전후로 최소 2주 동안은 금연해야 합니다. 증상 통증은 대부분 발치 후 이틀 정도가 지나면 시작됩니다. 시간이 경과할수록 통증의 정도가 심해집니다. 통증이 귀 쪽으로 퍼지기도 합니다. 입 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