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인공관절 수술받았다면 치과 치료 때 꼭 미리 알리세요 본문

다양한 의료정보

인공관절 수술받았다면 치과 치료 때 꼭 미리 알리세요

어려운 의료정보를 쉽게, 어프 2019. 9. 2. 15:19

구강 세균, 관절 염증 유발 위험… 예방적 항생제 복용 필요할 수도

인공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는 치과 치료 전 의사에게 수술 사실을 알려야 한다.

수술 부위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미리 복용해야 할 수 있기 때문 이다.

구강 점막을 통한 세균 감염이 발생하면 세균이 혈액을 타고 인공관절 부위로 옮겨가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대목동병원 정형외과 유재두 교수는

"입 안에 상주하는 균뿐 아니라, 염증 농양 속 균 등이 혈관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미국정형외과학회(AAOS)와 미국치과의사협회(ADA)는

인공관절 수술 환자의 예방적 항생제 복용 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 을 발표한 바 있다.

가이드라인은 5가지 항목을 고려하라고 명시했다.

항목은

▲ 치과 치료가 잇몸이나 구강점막 손상을 일으키는지

환자 면역력이 심하게 떨어져 있는지

 

혈당 조절이 잘 안 돼 감염 위험 높은지

▲ 인공관절 수술 후 감염 경험이 있는지

▲ 인공관절 수술 후 1년이 지났는지이다.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임승재 교수는

"해당 항목별로 점수를 매겨 의사가 항생제 사용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고 말했다.

임승재 교수는

"단순 충치 치료면 큰 문제가 없지만,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치아 이식 등

구강 점막에 출혈을 유발하는 치료를 받을 때는 치과 의사에게 반드시 인공관절 수술 사실을 알려야 한다"

말했다. 항생제는 치과 치료 두 시간 전 1회만 복용하면 된다.

인공관절 수술 부위 감염은 갑자기 통증이 생기거나 붓고, 빨개지고, 전신 발열이 나타날 때 의심한다.

유재두 교수는

"인공관절 수술 합병증 중 가장 위험한 것이 감염"이라며

"대부분 수술 부위를 다시 절개해 세균을 세척해내는 등의 수술 치료를 해야 하고,

최악의 경우 인공관절 제거 후 다시 넣지 못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30/2019083000044.htm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