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덤벨은 들 때가 중요할까? 근력운동 올바른 상식 본문

다양한 의료정보

덤벨은 들 때가 중요할까? 근력운동 올바른 상식

어려운 의료정보를 쉽게, 어프 2019. 7. 8. 17:01

 

 

운동할 때 잘못된 정보를 믿고 따라하다 보면 제대로 된 운동 효과를 못 본다.

오히려 근육이 다치는 등의 부상을 입을 수 있다. 근력운동을 계획중이라면,

흔히 잘못 알고 있는 상식을 바로잡고 시작하자.

◇덤벨을 들고 달리면 칼로리를 많이 쓴다?

과학적 근거가 없다. 미국 스포츠생리학회는 두 가지 운동을 함께 하면 집중력이 떨어져

오히려 칼로리 소모가 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트레드밀에서 30분 이상 덤벨을 들고

뛰면 어깨나 팔 근육이 경직되고, 활성산소 분해 속도가 늦어진다.

젖산이 과다 축적돼 피로도 심하게 느낀다.

◇ 땀복 입으면 지방 연소가 더 잘 된다?

살을 빼려는 사람은 땀복을 입으면 오히려 손해다. 땀복을 입고 운동하면

체열을 인위적으로 올려 수분만 빼내므로, 지방 연소에 전혀 도움되지 않는다.

오히려 땀복 착용 상태에선 탄수화물이 주로 연소되기 때문에

지방 연소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 덤벨은 들 때가 중요하다?

덤벨은 들 때 운동효과가 40%이고 내릴 때가 60%이다.

오히려 내릴 때 더 천천히 집중해서 내려야 한다. 덤벨을 들 때에만 신경쓰고

무성의하게 내리면 근육세포에 손상이 많이 간다.

◇ 하체 근력 운동을 하면 다리가 굵어진다?

처음 하체 근력 운동을 시작하면 근육이 뭉치고 딱딱하게 붓기도 하지만,

3개월 정도면 원상태로 돌아간다. 하체 근력 운동을 아예 안 하는 여성이 많은데,

하체 근육 운동은 체지방을 많이 줄여주기 때문에 체지방을 태우려면 반드시 해야 한다.

◇ 하체 근력 운동을 하면 무릎관절이 상한다?

오히려 무릎 관절의 힘을 길러준다. 무릎 주위 근육 힘이 강해져 관절염 예방에 도움이 된다.

단, 자신이 낼 수 있는 힘의 70~80% 정도의 힘만 써서 운동해야 한다.

15회 정도 굽혔다 펼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적당하다.

◇ 운동 후 통증 있을 때 계속 운동해야 한다?

근력 운동을 하고 나면 근육통이 생기는데, 이는 근육 세포가 손상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 때 근육통을 풀겠다고 계속 무리해서 운동을 하는 사람이 꽤 있다.

하지만 손상된 근육세포가 회복할 시간을 주지 않고 다시 운동을 하면

근력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없다. 근육은 손상된 세포가 최소 이틀 정도에 걸쳐 자연 치유되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시간 여유가 필요하다. 따라서 하루는 상체 운동을 했다면

다음날은 하체 운동을 하는 식으로 번갈아 가며 운동해야 한다.

◇ 근육이 뭉치면 염분을 섭취 해 풀어야 한다?

근육이 뭉치면 경련을 막기 위해 염분을 섭취하는 사람이 있는데,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킨다.

운동 후 근육이 뭉치는 것은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인데,

이 때 염분을 섭취하면 체내 수분이 더 부족해진다. 미지근한 맹물을 두 잔 마시면 도움된다.

출처 : 헬스조선

원문보기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05/2019070502398.htm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