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입냄새 (6)
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입 냄새는 대부분 입속에 있는 세균이나 구강질환이 원인이다. 입속 세균이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휘발성 황화합물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지독한 입 냄새가 생긴다. 입안에 남은 음식물 찌꺼기가 부패되는 것도 입 냄새의 원인이다. 평소 양치질을 잘 하는데도 입 냄새가 나고, 치과 검진을 통해서도 별다른 이유를 찾을 수 없다면 다른 질병을 의심해야 한다. ◇ 하수구 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 목에 이물감이 느껴지면서 입 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야 한다. 편도결석은 목젖 양쪽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편도에 있는 편도 구멍에 이물질이 끼어 생기는 쌀알 크기의 노란 알갱이를 말한다. 결석이라고 하지만 대부분 딱딱하지는 않다. 양치질할 때 결석이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다. 편도결석..

구강청결제는 간편하게 입 냄새를 막고 입속 세균을 없앨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다. 양치질 대용이나 양치질의 마지막 순서로 습관처럼 이용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구강청결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구강청결제에는 각종 항균 성분과 충치 예방을 위한 불소 성분이 들어 있다. 그러나 구강청결제는 양치질의 보조수단으로, 양치질을 완전히 대신할 수 없다. 구강청결제로 입속 세균을 줄일 수는 있지만,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기본적으로는 양치질을 깨끗이 잘해야 한다. 구강청결제를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건강에 독이 될 수 있다. 구강 질환이 없는데 구강청결제를 오래 혹은 과다하게 사용하는 경우,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 구강..

치약은 워낙 여러 종류가 나와 있고, 종류에 따라 효과도 조금씩 다르게 낸다. 자신이 겪는 구강문제에 따라 치약 선택하는 법을 알아보자. 치약 살 때 성분을 잘 살피면 된다. ◇ 시린이 이가 시린 사람이 연마제 성분이 들어간 치약을 사용하면 치아 표면에 무리를 줘 더 시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게 좋다. 염화스트론튬은 이가 시릴 때 발생하는 통증을 줄여주고, 인산칼륨, 질산칼슘은 상아질이 노출되어 이가 시릴 때의 통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 입냄새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된 치약은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며, 양치질 후에 10번 정도 입을 헹궈야 한다. ◇ 충치 연마제가 함유된 치약은 충치의 원인인 플라그를 제..

다른 사람의 입냄새는 잘 맡지만, 자신의 입냄새는 쉽게 못 알아차린다. 어떻게 하면 자신의 입냄새를 확인할 수 있을까? 입 냄새 진단법은 간단하다. 손등이나 팔에 혀로 침을 묻히고 1~2초 후에 그 냄새를 맡아보면 된다. 두 손이나 종이컵에 입김을 불어 냄새를 맡거나, 혀의 가장 안쪽을 손가락으로 찍어 냄새를 맡아보는 것도 방법이다. 혀의 백태를 면봉에 묻히고 냄새를 맡아도 확인 가능하다. 매일 이를 닦아도 제대로 된 양치법을 사용하지 않으면 입 냄새가 날 수 있다. 구강건조증, 역류성식도염, 당뇨병 등 질환이 있는 사람도 입냄새가 날 수 있다. 입 냄새를 없애려면 입 냄새를 유발하는 원인을 알고 제거해야 한다. 우선 이를 닦을 때 이 사이사이를 깨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