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무좀은 못 고치는 병이다? 무좀 관련 궁금증 본문
무좀은 여름철에 기승을 부리지만 겨울이라고 방심해서는 안 된다.
실제 겨울만 되면 무좀이 더 심해진다고 호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두꺼운 양말, 부츠, 방한화는 무좀균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을지병원 피부과 한태영 교수는 "일반적인 신발과 비교했을 때 밀폐 범위가 넓어 통풍이 안 되고, 땀이 신발에
차게 된다"며 "결과적으로 발에 장마철 못지않은 습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무좀은 곰팡이에 의한 감염성 질환으로 습기는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다.
무좀에 대해 잘못 알려진 상식을 바로잡아보자.
△ ‘무좀은 못 고치는 병’이다?
무좀은 못 고치는 병이 아니다. 전문의의 처방 아래 원인이 되는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는 항진균제를
적절히 사용하면 완치될 수 있다. 다만 발 무좀의 경우 치료 기간이 1~2주로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발톱 무좀은 수개월 간 약을 먹어야 한다. 발톱 무좀이 치료되지 않으면 발가락 사이나 발바닥의 무좀이
재발하기 쉬워 전문의의 지시에 따라 꾸준히 치료해야 한다.
무좀은 형태에 따라 발가락 사이에 주로 생기는 '지간형', 물집을 형성하는 '소수포형', 두꺼워지면서 인설이
동반되는 '건조인설형' 3가지로 분류된다. 혼합되어 나타날 수도 있다.
형태와 관계없이 초기에 잘 관리하지 않으면 발톱 무좀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
△ 피부과 처방 약은 독하다는데?
무좀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약물 중 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이 있어 이런 속설이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무좀 치료제가 모든 환자에게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신체 상태와 복용하는 약, 기저 질환 여부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면
부작용 없이 무좀이 완치될 수 있다.
△ 빙초산을 바르면 무좀이 낫는다?
두꺼운 각질층이나 표피를 단번에 제거하면 무좀을 완쾌시킬 수 있다고 믿어 빙초산을 민간요법으로 쓰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빙초산 같은 것을 발라 피부가 넓게 부식되어 입원하는 경우도 있고,
치료 후에도 발가락 사이가 유착되는 후유증으로 불편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한태영 교수는 "좋은 무좀약이 계속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자칫 잘못하면 평생 후회할 수 있는
불확실한 방법을 무분별하게 남용하지 말라"고 말했다.
△ 진물이 나는 무좀은 습진이다?
무좀이나 습진 모두에서 진물이 날 수 있다. 단, 무좀은 곰팡이에 의한 질환인 데 비해 습진은
균에 의한 것이 아니다. 습진과 무좀은 원인이 전혀 다른 별개의 질환으로 치료법이 달라,
잘못 알고 치료하면 병을 더 악화시키고 진단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피부 전문의에게 정확히 진단을 받지 않고 함부로 광범위 피부질환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광범위 피부질환제는 대개 스테로이드제 외에 항진균제(곰팡이를 막아내는 제제)나
항생제(세균을 막아내는 제제)가 단독 또는 함께 들어 있어 병을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치료할 수 있다고
추측하기 쉽지만 함부로 사용하면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 물집이 생기는 무좀은 물집을 터뜨리고 약을 바른다?
물집을 터뜨리면 피부가 이미 곰팡이에 감염돼 방어기능이 약해져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인 세균 감염으로 피부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때로는 세균 감염으로 인한 발과 다리의 봉와직염이 발생해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물집을 제거하면 안 된다.
무좀은 치료된 후에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재감염이 될 수 있다.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곰팡이는 습기가 있어야 자라므로 피부가 축축한 상태로 방치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좀을 예방하려면
▲부츠는 반드시 꼭 필요한 외출 시에만 착용하고
▲사무실이나 실내에서는 구두나 운동화 대신 통풍이 잘되는 슬리퍼를 신고
▲맨발 상태일 때 발을 건조하는 습관을 들이고
▲발에 땀이 너무 많이 나는 경우 다한증을 치료하는 게 도움이 된다.
출처 : 헬스조선
원문보기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2/26/2018122600697.html
'다양한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한의 배고픔, '간헐적 단식'이란?…단식 방법부터 부작용까지 자세히 알아보자 (0) | 2019.01.23 |
---|---|
귤 4분의 3개, 혹은 감 3쪽… 건강에 좋은 과일 양, 생각보다 적어요 (0) | 2019.01.23 |
조금만 먹어도 찌는 '나잇살', 어떻게 해야 빠질까? (0) | 2019.01.23 |
[알면 약 되는 음식 궁합 ①] 고구마와 땅콩, 같이 먹지 마세요 (0) | 2019.01.23 |
FMD 식단 "먹으면서 살 뺀다"… 구체적인 실천법은? (0) | 2019.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