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난소에 생기는 주머니 '난소낭종'… 생리 빨라지면 의심 본문
박모(30)씨는 평소 생리가 규칙적인 편이었다. 28~31일 주기가 제법 잘 지켜졌다.
하지만 최근 생리가 끝난 지 3주만에 다시 생리를 시작해 걱정이 됐다.
그리고 다음 번 생리도 2주 만에 시작됐다. 이상을 느껴 산부인과를 찾은 박씨는
"왼쪽 난소에 지름 약 8.5cm짜리 낭종이 생겼다"는 의사의 말을 들었다.
난소낭종은 임신과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에게만 발생하는 것으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최근에는 출산 경험이 없는 20~30대 미혼 여성, 청소년에게서도 흔히 발생하는 추세다.
을지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진찬희 교수의 도움말로 난소낭종에 대해 알아본다.
난소낭종, 파열되면 급성복통까지
난소는 엄지손가락만 한 작은 장기이지만, 난자를 만들고 성호르몬을 생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난소에는 주머니 모양의 세포가 모인 난포가 있으며,
난자의 성장을 돕는다. 난포가 제대로 성숙하지 못하거나 난포를 배출하지 못하는 등
배란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면 난소에 수액 성분의 물혹이 생긴다. 이렇게 생긴 종양이 난소낭종이다.
진찬희 교수는 “난소낭종은 난소에 생기는 종양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라며
“자각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데, 크기가 작을 경우 더욱 그러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낭종의 크기가 커지면 생리불순, 생리통 등 생리 관련 이상 증상이 생길 뿐 아니라 배뇨장애,
배변장애, 오심, 구역, 소화장애, 두통도 나타날 수 있다. 또 낭종으로 인해 난소의 크기가 커지면서
종양이 꼬이거나 난소낭종이 파열되면 복강 내 출혈이나 급성복통을 유발하기도 한다.
8cm 이상, 파열 우려 있으면 수술
난소낭종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 자극에 의한 배란이나 서구화된 생활 습관과 만성피로, 각종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호르몬 교란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난소낭종은 대개 수주에서 수개월 이내에
저절로 사라진다. 하지만 종양의 크기가 8cm 이상으로 크거나,
꼬임 혹은 파열의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 방법은 복강경, 로봇수술 또는
개복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연령, 폐경 여부, 혹의 크기와 모양, 증상 등에 따라 결정된다.
조기에 발견하면 종양을 복강경 수술로 혹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미 진행된 경우에는 난소를 살리지 못하고 한쪽 난소를 제거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난소낭종은 재발률이 높은 질환이다. 따라서 눈에 보이는 낭종을 제거하는 것보다
낭종이 다시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리 이상 있으면 진찰받는 게 안전
출혈, 복통 등의 증상으로 병원을 찾았을 때는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된 이후이다.
따라서 평소 자신의 몸의 변화를 잘 살피고 정기 검진으로 초기에 병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다. 진찬희 교수는 “생각 외로 미혼 여성 중에서 부인과 질병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은데
병원을 찾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고 병을 키우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감기에 걸렸거나
배가 아프면 병원을 찾듯 산부인과에 가는 것도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진 교수는 “성관계를 가져본 적이 없다고 안심할 것이 아니라
생리 이상이나 비정상적 신체 변화가 나타나면 반드시 산부인과 진찰을 받아야 하며,
특히 결혼을 앞두고 있는 여성이라면 한 번 정도 산부인과 진찰을 받을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출처 : 헬스조선
'다양한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비약 없이 장 청소하는 간단한 방법 (0) | 2019.02.15 |
---|---|
'핑~' '어질어질'…발음·균형 이상까지 있다면 응급상황 (0) | 2019.02.15 |
칫솔, 물에 안 묻혀야 이 더 잘 닦인다 (0) | 2019.02.14 |
운동, 살 빼려면 '식전' 근육 키우려면 '식후' (0) | 2019.02.14 |
팔 힘줄, 허벅지 근육 강화하는 '간단' 재활운동법 (0) | 201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