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팔 힘줄, 허벅지 근육 강화하는 '간단' 재활운동법 본문
나이 들면서 팔다리 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통증이 생기면 활동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데,
오히려 운동해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움직이지 않으면 근육과 힘줄이 약해지고 위축되기
때문이다. 운동하면 긴장됐던 근육 등이 이완되고 혈액순환도 원활해지면서 염증이나 통증이
약해질 수 있다. 단, 염증이 심한 급성기 때는 운동을 피해야 한다. 병이 천천히 진행되거나 만성화된
경우에 운동한다. 통증이 느껴질 정도가 아닌, 뻐근한 느낌이 들 정도의 강도를 유지하는 게 좋다.
손목 운동, 팔꿈치 힘줄 강화
팔꿈치가 잘 아픈 사람은 골프엘보나 테니스엘보 탓일 확률이 높다.
골프엘보는 팔꿈치부터 손목까지 이어진 힘줄 중 손목을 안으로 굽히는 힘줄이, 테니스엘보는 손목을
바깥으로 젖히는 힘줄이 손상되는 병이다. 이때는 손목 운동을 통해 팔꿈치 힘줄을 강화해야 한다.
운동법은 앉거나 서서 한쪽 팔을 앞으로 뻗은 후 손목을 아래로 굽히고, 다른 쪽 손으로 손가락을 잡아
몸쪽으로 당기는 식이다. 이후 팔을 돌린 뒤 다른 쪽 손으로 손을 잡아 몸통으로 당긴다.
이 과정을 5회 반복하는 게 1세트로, 하루에 30세트 이상 시도하는 게 좋다. 운동 중간 쉬어준다.
이 운동으로 손상된 팔꿈치 힘줄을 늘이면 손목을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커진다.
퇴화한 조직이 재생되는 효과를 볼 수도 있다.
런지 동작, 관절염 환자 도움
관절염이 있으면 다리를 굽혔다 펴는 게 어려워 활동량이 줄어들고,
이로 인해 허벅지에 있는 대퇴사두근이 약해진다. 그러면 체중이 관절에 집중돼 관절 손상이
빨리 악화되고, 움직일 때 관절이 좌우로 흔들려 넘어질 위험도 생긴다.
따라서 관절염 환자는 대퇴사두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해야 하는데 런지 동작을 하는 게 효과적이다.
런지 동작은 한 발을 앞으로 뻗은 뒤 직각으로 앉았다 일어나는 동작이다. 무릎을 많이 구부리면
무릎뼈가 구부러진 채로 체중이 집중돼 뼈·연골이 쉽게 닳을 수 있다. 따라서 무릎은 20도 정도만
구부려야 한다. 동작은 천천히 하고, 허벅지가 뻐근하다고 느껴질 때까지 한다.
'다양한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칫솔, 물에 안 묻혀야 이 더 잘 닦인다 (0) | 2019.02.14 |
---|---|
운동, 살 빼려면 '식전' 근육 키우려면 '식후' (0) | 2019.02.14 |
운동 중 분비되는 호르몬 '이리신'… 치매 예방 (0) | 2019.02.12 |
허벅지 근육만큼 중요한 '작은 근육'… 잘 키워야 오래 산다 (0) | 2019.02.12 |
버스에서 졸아도 내릴 때 잠 깨는 이유 (0) | 2019.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