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프 - 어디가 아프세요
비말감염vs공기감염, 뭐가 다를까? / 감염경로, 병원감염, 접촉자, 마스크, 면역력,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본문
비말감염vs공기감염, 뭐가 다를까? / 감염경로, 병원감염, 접촉자, 마스크, 면역력, 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코로나19
어려운 의료정보를 쉽게, 어프 2020. 2. 24. 16:48
병원균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경로는 조금씩 다르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등 바이러스 전파와 관련해 '비말감염(飛沫感染)', '공기감염'에 대한 관심이 높다.
비말감염은 감염자가 기침·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비말)에
바이러스·세균이 섞여 나와 타인의 입, 코로 들어가 감염되는 형태다.
비말 크기는 5㎛(1㎛=100만분의 1m) 이상이며,
기침을 한 번 하면 약 3000개의 비말이 전방 2m 내에 분사된다.
그래서 비말감염을 피하려면 감염 위험이 있으면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하며,
기침은 팔에 하는 등 기침 예절을 지키는 게 좋다.
또한 감염자로부터 2m 이상 떨어지는 게 그나마 안전하다.
비말감염이라 해도, 에어컨 등이 바이러스를 빨아들인 뒤 공기 중에 내뿜게 되면
비말이 훨씬 멀리 퍼질 위험이 있다.
코로나19 감염자를 격리하는 '음압병상'은 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공기가 항상 병실 안에서만 흐르도록 유도, 병실 내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걸 막는 구조다.
공기감염은 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타인이 공기를 흡입할 때 호흡기로 감염되는 형태다.
바이러스가 있는 입자가 5㎛ 보다 작을 때 가능하다.
전염력이 커 최대 48m 떨어진 사람에게도 감염시킬 수 있다.
공기감염으로 전염되는 대표질환은 결핵, 홍역, 수두바이러스 등이다.
그 외에 B형·C형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을 통해 감염되고,
노로바이러스 등 식중독균은 감염자의 배변이나 구토물을 통해 감염된다.
[출처]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21/2020022102881.html